지식창고

이집트 선교를 말한다

Share
이집트 선교를 말한다
Share

이집트 선교를 말한다 » 김신숙 원로선교사

무엇을 이루었는가?

선교사역 : 애급 선교사역은 1977년 3월부터 고 이연호(남편)목사와 함께 시작하여 현지인 사역개척과 한인들을 위한 카이로 한인교회를 창립하므로 시작이 되었다. 한국인으로 중동과 아프리카지역의 선교 개척자로서 1976년 8월 사우디아라비아 초대선교사로 ‘리야드’에서 시작을 하였으나 사우디 정부에서 목사 선교사가 들어왔다는 정보를 알아냄으로 2개월 만에 추방을 당하고 다시 중동에 들어오기 위해 여러 방면으로 알아보다가 1977년 3월12일 하나님의 인도하심으로 홀로 공항에 도착 시작하게 되었다.

개척 할 때의 모든 자세한 이야기는 “사막의 장미꽃이‘ 라는 책에 실려 있다. 본인이 애굽선교 20년(1997년)사역을 정리하여 책을 썼던 것이다. 그러나 1979년 7월11일 수단과 이집트 목회자 수양회가 알렉산드리아에서 열릴 때 초청을 받고 사막 길을 가시다가 순직을 하고 본 김신숙 선교사가 남편의 뒤를 이어 선교를 30년에 이르는 사역을 하고 있다.

선교사역을 요약하면 :

1. 애급 복음주의신학교 (Coptic Egyptian Evangelical Theological Seminary) 사역

이집트에 도착하여 1년간 언어와 문화를 익힌 후, 1978년 카이로 애급 복음주의 신학교에서 도서관 사서로 거주허가와 노동허가를 얻어 사역을 시작하게 되었다. 1986-1988 안식년을 얻어 미국 그랜드 래프드(Grand Rapid, Michigan)에 소재하는 칼빈 신학대학원에서 교육학 석사과정을 마치고 다시 이집트로 돌아와 카이로 신학교와 분교 알렉산드리아에서 기독교 교육학 개론을 강의를 하고 있다. 2003년 알렉산드리아 신학교는 패쇄되어, 카이로 신학교에서만 강의를 통해 신학생들에게 선교에 대한 도전을 하며 이집트교회가 활성화 되고 부흥할 수 있도록 교육하고 있다.

2. Outreach and Home Church (전도와 가정교회)

한편 1981년 주 말에 네질리트 쌈멘 지역에 가정교회를 현지인 동역자 휘쉠 전도사와 함께 시작하게 되었다. 가정교회를 하게 된 동기는 이집트에는 이름만 가진 기독교인 많이 있고, 그들은 예수님도 모르고, 교회에도 나가지 않는 기독교 혈통에서 태어난 사람들이다. 이런 사람들이 예수를 믿고, 교회에서 예배를 드리도록 해야 한다는 비젼을 갖고 전도사역에 임하기 시작하였다. 신학교 방학을 기해 지방순회전도를 시작하게 되었다. 알렉산드리아부터 시작하여 이스나 까지 신학생들이 있는 동안 시골지방을 순회하며 복음을 전하면서 유리하는 양들의 모습을 보게 되었다. 이런 사역을 통해 주신 세 가지 비젼이 어린이 복음화, 부녀자 복음화, 지도자 훈련이였다. 이 비젼을 이루기 위해 10여년 기도하기 시작하였다.

3. 애급 선교 센타 사역입니다.

10년간 기도한 끝에 1991년 애굽 선교 센타를 애굽 복음주의 교단 빌딩 6층에 건축하고 그해 10월17일 개관예배를 드리다.

애굽 선교 센타 사역은 1992년부터 (1) 평신도 지도자 훈련: 주일학교 교사, 중, 고등부 교사. 대학생을 돕는 지도자들을 훈련하다. 이집트는 지도자가 절대적으로 필요 하고 있다. 특별히 시골지역에는 지도자 없이 성도들만 예배드리는 곳도 여러 곳 있습니다. 제가 지방 순회를 여러 해 동안 하면서 이런 모습들을 보면서 절실하게 평신도 지도자 훈련에 대한 비젼을 갖게 되었다.
(2)성경학교: 제자훈련을 중점적으로 하고 있다.

(3)젊은 목회자 연장교육 (월 기도회와 철야 기도회, 계속교육, 세미나, 년1회 교회 성장 수련회)을 통하여 현지교회가 부흥되는 것과, 회교인들에게 복음을 전하는 일에 도전을 하다.

(4) Outreach ministry (시골교회 순회전도 및 제자훈련, 개종자양육)

(5) 선교사 훈련: 1997년부터 현지인 선교사 훈련과 한국인 선교사 훈련(알샤피아 선교훈련학교): 중동과 북아프리카 22개국(아랍어권)에 선교하고자 하는 사람들을 훈련을 하고 있으며, 중동과 북 아프카에 선교사를 파송하여 복음을 전하는 일.

특별한 사역은 무엇이었는가? (그 문화권의 특색, 효율적인 성취)

이집트는 주후 61년 “마가 요한”이 알렉산드리아에서 복음을 전한 후 600여년 기간 기독교(콥틱교회: 애굽 정교회)국가였다. 그 후 641년경 이슬람이 들어오므로 인해 이슬람 국가가 되었다. 이슬람 국가가 되어 기독교인들을 핍박하였으나 기독교인들은 신앙을 지키기 위해 사막으로 숨어들어가 생명을 걸고 신앙을 사수하여 이집트는 기독교와 회교가 공존하는 나라이다.

기독교 혈통에서 태어나면 무조건 기독교인이고, 회교 가정에서 태어나면 회교인이 되는 것이다. 오랜 세월 회교국가로 핍박과 어려가운데 이름만 가진 기독교인들이 많이 있다. 25년, 20여년 교회를 떠나 회교인들과 같은 삶을 살고 있는 자들이 많다. 또한 교회가 세워지려면 대통령의 허락을 받아야하고, 2차적으로 건축부에서 건축허가를 받아야 교회를 세울 수 있기에 외형적으로 교회다운 교회를 짓기는 어려운 곳이다.

이로 인해 이름만 가진 기독교인들은 교회를 더욱 멀리 떠날 수밖에 없다. 이름만 가진 기독교인들에게 복음의 핵심과, 믿음의 생활을 하기위해 교회가 절대적으로 필요한 곳이다. 이런 형편에 따라 가정교회가 많이 세워져야한다. 현지인들을 훈련하여 회교인들에게 복음을 전해야한다.

1. 가정교회 개척 사역 협력: EMS(Egypt Mission Service)는 가정교회 개척을 중점적으로 하고 있다. 현지인들과 외국선교사들 10여명이 이 사역에 협력하고 있다. 이집트에는 교회가 없는 지역들이 많이 있다. 특별히 시골지방에는 교회가 없어 신앙생활을 할 수 없는 곳이 많다. 나라에서 정식으로 교회 생기는 것을 원치 아니하고 건축을 허락 받기가 매우 힘이 들므로 가정에서 교회를 시작해야하는 곳이 많이 있다.

2.방송사역 협력: 1985년-2009/ 회교인들에게 외국선교사가 복음을 전하다 비밀경찰에게 발각되면 24시간안에 추방을 당하게 되고, 현지인들이 복음을 전하다 발각되면 감옥에 들어가게 된다. 정부에서는 기독교인으로 태어난 사람들에게만 복음을 전하고 교회활동을 하라고 하는 것이고, 회교인들에게 복음을 절대로 전하지 못하도록 되어있다. 이러한 문화적, 정치적, 종교적 상황에서 방송선교를 통해 복음을 듣고 예수님을 영접하고 복음을 접하는 사람들이 많이 있다. 방송사역에는 라듸오 방송, 위성방송을 통해 텔레비전 방송(SAT 7)이 있는데, 이 두 방송은 회교인들 위한 사역으로 매우 중요한 사역이며, 회교국가에서는 효과적인 사역이다.

3. 성경보급: 믿는 사람들도 성경을 갖지 못한 사람들이 많이 있다. 가격도 이들에게는 비싸기 때문에 성경을 구입하기가 쉽지 않다. 개인, 가정, 교회에 성경보급이 필요하다.

4. Outreach and Church Planting신개발 지역과 교회가 없는 지역에 가정교회 중심으로 모임을 갖도록 하며, 현지인들이에게 복음을 증거 하도록 도전, 훈련을 통해 그들이 전도와 선교에 힘쓰도록 한다.

선교 장해 요소는 무엇이었는가? (애로사항)

이집트의 선교장해는 이슬람 국가이기 때문에 비밀경찰들의 감시로 자유롭게 복음을 전할 수 없다는 점이다. 이로 인해 선교사들이나, 현지인 사이에 두려움의 영이 있다는 것이다. 두 번째는 이런 사회 속에서 인내로서 참고 견디며 시간을 많이 요구되는 것이 사역자들에게 스트레스이고 조급함으로 영적으로 침체되어 가는 것이다. 날마다 도전을 받고 복음을 전할 때 선교사들은 힘이 생기는데 그렇지 못하다는 것이다. 세 번째로 영적전쟁이 심한 것이다. 하루에 다섯 번씩 기도하는 이슬람교도들의 열성, 우리들이 다가가기에 많은 장벽들이 있는 것 즉 영적전쟁이 강하다 이로 인해 영성을 유지하는 것이 어렵다는 것이다. 넷째, 아랍어 언어가 숙달하기에 매우 어려운 언어이다.

비젼은 무엇인가( 미래프로젝트)

1. 21세기 맞이하여 한국 선교사들이 국제 선교단체들과의 협력하는 일을 위하여 영적 개발, 실력 개발, 인격적 개발을 하여 회교권 선교에 지도력을 나타내는 일이다. 사람을 키우는 일에 전력을 다해야한다. 현지인 선교사 훈련과 한국인 선교사 훈련을 하는 알 샤피아 선교 학교의 질을 높이려고 한다.

2. 아랍권 22개국(중동과 북부 아프리카)에 현지인, 한국인 선교사가 사역하는 비젼을 갖고 있다.

아직도 한국인 선교사 들어가지 못한 곳이 여러 곳이 있다. 이슬람이 강한 아랍권 즉 언어를 아랍어 사용하며, 문화가 비슷한 지역들이다. 이 지역에 복음화를 위해 감당할 수 있는 열쇠를 가진 나라가 이집트인들이다. 이집트인 선교사 한 가족과, 한국인 선교사 가족이 함께 런닝 메이트(running mate)로 보내어 함께 사역하는 것이다. 현지인은 언어와 문화가 이미 준비된 사람들이고, 한국인에게는 한국적이 영성을 가지고 그들을 도전하며 함께 기도와도전함으로 복음을 전하는 것이 이상적이라 생각된다.

3. 이집트에 이슬람-기독교 영성 리서치 센터를 세워는 일. MENA INTITUTE (Middle East and North Africa Intitute) 1997년 알샤피아 선교 훈련학교 시작 부터 이집트의 콥틱의 수도원을 방문하며 생긴 비젼이다. 개신교를 위한 선교와 영성훈련 장소가 필요하다. 기도와 말씀으로 영성 훈련만이 아니라 최대의 도서관을 마련하여 회교, 기독교, 아랍권 선교에 대한 연구를 하고자 하는 사람들이 이곳에서 영성 훈련과 학적으로 훈련을 하며 공동체 삶을 통한 독특한 아카데미를 세우고자한다. 아카데미에서 선교사 훈련과 강좌, 공동체 삶을 통해 이교도에게 복음을 전하여 하늘나라가 확장되어지기 위함이다. 또한 아랍권 리서치 센타를 두어 연구기관을 통해 중동과 북아프리카의 선교를 위한 연구 자료와 전략을 제공하고자 한다.

한국교회에 보내는 메시지(선교참여, 바른 선교를 위하여)

첫 번째, 복음을 전하기 힘든 회교권을 위한 선교에도 관심을 갖기를 소원한다. 열매를 맺기 어려운 지역이지만 인내와 끈기, 열정을 가지고 기다리는 선교가 필요하다. 눈에 보이는 보고와 결과, 전시효과에 중점을 두지 않고, 선교사를 믿고 조건 없이 기도와 물질로 후원하는 교회가 되어야한다.

두 번째, 기도와 사랑이 담긴 선교비를 후원하는 것이 더욱 필요하다. 협력선교를 많이 하는 것이 유행되어 매년 같은 선교비로 많은 선교사를 후원하는 것과 지속적이지 못하다는 것이다. 세월이 가면서 현장의 물가도 오르고, 사역은 갈수록 증가됨을 고려하는 관심이 필요하다.

세 번째, 현지인 선교에 장기간 사역한 고참 선교사가운데 저력이 있는 자들을 발굴, 연구 할 수 있도록 기회를 주어 선교 전문가들이 나올 수 있도록 사람을 키우는 일을 해야 한다. 한국교회가 선교한지 약 40-50여년이 되었으므로 전문가들이 나와 지역별, 종교별, 사역별로 전문적인 전략이 준비되어 전문 사역자로 미래 지향적인 효과적인 선교를 해야 한다.

김신숙 선교사 소개와 사역(과거, 현재, 미래)

이름: 김신숙 ( Shin Sook Kim: Sarah Kim Lee (이집트에서 부르는 명칭)
주소: P. O. Box 356, Maadi, Cairo, Egypt
Tel & Fax: (202) 25922511(O), 23504420 (H) 2012-734-8229(mobil)
E-mail: ksrgn@hotmail.com and ksrgn0505@gmail.com
Web: WWW. Alshafia.org
소속: GMS : 총회세계선교회
저서: 사막의 장미꽃이 (횃불 출판사) 1997
직위: SCTS(Spiritual Center for Training and Studies:애굽 선교센타) Director(원장), 애굽 선교센타 원장, 알샤피아 선교 훈련학교 교장

Share
Written by
김신숙 원로선교사 -

GMS 선교사/E국 무슬림선교,현지 synod of nile 장로교회 리더 훈련(부부 선교사로1976년6월18일 파송, 독신선교사로 1979년 10월) GMS 중동 지역장 , 이집트 지부장 현, 원로 선교사: 이집트 45년 사역 중GMS지역장 역임(2012년7월-2015년7월) GMS 지부장 역임(2015년 10월 - 2017년 9월) 애굽 선교센터 (SCTS: Spiritual Center Training and Studies) 대표: (1997년 1월-2022년 4월 현재) MENAAi (Middle East, North Africa, Asia Institude) 공동대표 (2011년 1월- 2019년 2월) BCM (Biblical Christian Mission) 대표총신 대학교 교육과 성균관 대학교 사서 대학원 (도서관학) 칼빈 신학 대학원 1988년- 교육학석사 (MA,: Calvin Theological Seminary, Grand Rapids, Michigan USA) Fuller Theological Seminary (Dr. Inter-Culture Studies) 2013년 학위 (DMiss선교학박사)

Leave a comment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

Related Articles
GMS 설립의 역사적 배경과 경위
지식창고

GMS 설립의 역사적 배경과 경위

GMS 설립의 역사적 배경과 경위 » 오늘의 GMS가 생성된 역사적 배경과 경위를...

이집트의 기독교와 이슬람
지식창고

이집트의 기독교와 이슬람

이집트의 기독교와 이슬람 » 글 김신숙(GMS/ 이집트) »  서론:  이집트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역사 성찰을 통한 이슬람 선교의 오늘과 내일
지식창고

역사 성찰을 통한 이슬람 선교의 오늘과 내일

역사 성찰을 통한 이슬람 선교의 오늘과 내일 » 김신숙 선교사 »  서론  21세기의 이슬람 선교 방향성을 찿는 일은 역사적인 통찰력이 필요하다. 오늘과 미래의 방향성을 찿을 수 있는 것은 과거의 역사와 현재의 역사를 성찰할 때 가능하다고 생각한다.  역사적 성찰을 위해서는 성경역사, 세계 역사, 이슬람 역사, 선교역사를 통합적으로 살펴 보아야 한다.  ...

여성과 선교: 이슬람 선교에 있어서 여성들의 역할과 전망
지식창고

여성과 선교: 이슬람 선교에 있어서 여성들의 역할과 전망

여성과 선교: 이슬람 선교에 있어서 여성들의 역할과 전망 »  김신숙 원로선교사  »...